카테고리 없음

독립영화 메기_데이트 폭력 사이다 먹이기

이상상과장 2023. 11. 14. 14:24
반응형

메기 포스터

독립영화라고 하면 많은 분들이 어려워하고 상업영화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연출자의 의도에 따라 자신의 생각이나 의견을 소신 있게 말하고 무거운 주제를 다루는 면이 많다. 이러한 주제들에 관객은 흥미를 느끼지 않아 흥행에 성공하기 쉽지 않은 게 현실적인 반응이다. 최근 영화계에서 거물들이 메가폰을 잡으며 독립영화에도 종종 흥행에 성공하는 일들이 생겨나고 있지만 아직 보편적인 반응은 흥미가 없다 또는 재미가 없다로 귀결된다. 나 역시 흥행성적이 좋은 영화들을 위주로 보면 편이지만 최근 독립 영화에 대한 이야기를 하다 보니 상업적인 영화보다 독립 영화의 매력을 다시 한번 느낄 수 있었다. 

메기는 2019년 개봉한 영화로 이옥섭 감독의 작품으로 관객에게 다양한 메시지를 전하고 있다. 이옥섭 감독의 작품들은 대부분 현실적이고 사회적인 이슈를 다루며 깊이 있는 이야기와 감성을 잘 표현 하는것이 특징이다. 이옥섭 감독은 이영화에서 무엇을 말하고 싶은 걸까? 다양한 관점에서 생각하며 이야기에 집중해 볼 필요가 있다. 어떤 포인트에 집중하여 작품을 감상할 것인가도 굉장히 재미있는 요소가 될 것이다. 

 

목차
1.메기 영화 정보, 출연진, 평점
2. 영화가 말하고자 하는 것
3. 주관적인 감상평

 

1. 메기 영화정보, 출연지, 평점

이고섭 감독이 메가폰을 잡은 독립영화 메기는 독립영화계에서 아주 좋은 반응을 보여줬다. 다양한 요소들을 잘 섞어만든 영화로 드라마와 미스터리, 소소한 코미디까지 재미나게 표현한 작품이다. 구교환, 문소리, 이주영 배우의 주연으로 독립 영화치곤 진 러닝타임을 보여준다. 보통 독립 영화의 러닝 타임은 30분 정도로 보는데 짧은 건 10분짜리 영화도 있다. 그런데 메기는 무려 89분이라는 긴 호흡을 자랑하는 장편 영화다. 긴 상영시간 속에 감독이 전하고 싶은 이야기들이 속속 담겨 있다. 

영화 메기는 데이트 폭력이나 무단 촬영 같은 사회적 이슈를 소재로 다루고 있지만 이 소재에 대한 긍정적 평가를 받고 있다. 작품의 평점은 7.0으로 많은 관객들의 괜찮다는 평을 받고 있지만 평가에 비해 아쉬운 평점이다. 메기의 아쉬운 평점은 개인적인 취향 차이와 작품의 특성 때문으로 풀이 된다. 관객은 영화에 대한 기대와 취향이 다를 수 있기에 메기가 전달하려는 메시지에 대해 호불호가 갈릴 수 있다. 하지만 많은 사람들에게 메기가 괜찮은 작품으로 평가되고 있으며 여전히 사랑받고 있는 것을 감안하면 메기는 여전히 가치 있는 작품으로 인정받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2. 영화가 말하고자 하는것

영화 메기는 민물고기인 메기를 통해 주인공 윤영에게 따뜻한 위로를 전달하며 내레이션을 통해 감정 이입을 유도한다. 이 영화는 윤영이 견험한 몰래카메라 사건을 통해 현싱릐 안타까운 면모를 그대로 보여준다. 사람들이 범죄에 대해 무관심하거나 가해자를 찾지 못하는 현실을 비판하고 있다. 메기는 주인공 윤영의 작은 위안이 되어준다. 이 작은 민물고기는 윤영이 마음의 상처를 간직하며 살아가는 모습 을 통해 그의 고통을 공감하고 위로한다. 나레이션을 통해 감정이입을 더욱 강화시켜 관객에게 메시지를 전달한다.

몰래 카메라 사건은 현실에서 벌어지는 사회적 문제를 반영하며 명백한 범죄임에도 불구하고 가해자를 찾지 못하는 현실을 들어낸다. 범인이 누구인가 보다 영상의 인물이 누군지에 궁금함을 보이는 현대인들의 모습과 현실에서 벌어지는 비극적인 사건들에 대한 분노를 상징적으로 전달한다. 현재의 안타까운 모습을 솔직하게 보여 주며 메기를 통해 윤영에게 위로를 전달하고 현실의 어두운 면모와 사회적 문제를 드러내 메세지를 담고 있다. 이는 관객들에게 공감과 생각의 여지를 주며 영화를 통해 사회적인 문제에 대한 인식을 일깨우고자 하는 의도를 담고 있다.

이뿐 아니라 데이트 폭력이라는 사회적 문제를 다루면서 주인공 윤영이 자시의 남자친구의 폭력적인 행동에 대한 혼란과 확증편향을 경험하는 이야기를 그린다. 윤영은 믿고 있던 남자친구가 예전 여자친구와의 관계에서 폭력을 행사한 일을 받아들이기 힘들어한다. 이는 데이트 폭력에 대한 인식이나 가해자의 정체성을 의심하게 만든다. 이를 통해 영화는 데이트 폭력에 대한 비판과 가해자의 침묵에 대한 메시지를 함께 전달하고 있다.

 

3. 주관적인 감상평

영화 메기는 독립영화 중에서도 뛰어난 작품으로 손꼽힌다. 특히 영화 속에서 다양한 이슈들을 다루면서 감독의 시선을 통해 답답함을 해소할 수 있어 많은 이들의 사랑을 받는다. 확증편향이란 게 무엇인지 잘 몰랐던 나는 사전 속의 의미를 찾아보고 영화에서 이것을 윤영이란 인물을 통해 어떻게 비치는 확실하게 이해하는 계기가 되었다. 자신이 가진 생각이나 정보만을 받아들여 모든 사물을 자신이 보고 싶은 것, 믿고 싶은 대로만 믿어 버리는 모습을 잘 표현했다고 본다. 이런 편향된 생각으로 자신을 옥죄지 말고 좀 더 여유를 가지고 생각을 컨트롤할 필요가 있다는 생각이 든다.

또한, 메기는 데이트 폭력이라는 사회적 문제를 소재로 다루면서 주인공의 확증편향과 혼란, 그리고 가해자의 침묵에 대해 질문을 던지고자 한다. 이를 통해 관객들에게 데이트 폭력에 대한 인식과 대처에 대한 고민을 유방 하며 감독의 메시지가 잘 전달되는 순간을 경험하게 된다. 뉴스 사건사고에서 끊이지 않는 데이트 폭력에 대해 일침을 가하는 모습들이 나오면서 현실에서 느끼지 못한 시원함도 느낄 수 있다. 감독이 전하고 싶은 메시지가 관객에게 잘 전달이 되지 않았나 하는 생각이 든다. 

 

"윤영 씨, 사실이 온전하게 존재하는 곳은 아무 데도 없대요" <영화 메기 中>

반응형